티스토리 뷰

<데이터 문해력> - 카시와기 요시키 

 

1) 앞으로 필요한 건 데이터 문해력 ;분석보다 활용 

  • 앞으로 자신에게 필요한 기술이 무엇인지를 아는것이 중요! 
  •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고, 가치 있는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서는, 기계와 도구 조작법을 깊게 이해하는 것과 별개로, 우리가 직접 익혀야 하는 고도로 가치 있는 기술이 필요 
  • 기계 vs 사람이 해야 하는 것을 구별하는것 
    • 자신에게 필요한 형태로 효과적으로 활용해서 최대한 결과물을 창출 하는 것 
  • 생각하고, 작업하고, 생각한다. 
    • 생각하고; 분석 전에 문제/문제 정의 /가설 구축 
    • 작업하고; 분석을 위한 기술과 지식 
    • 생각한다;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스토리 구축
    • 생각하는 것이 사람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것 
  • 데이터를 먼저 보지마라, 그래프를 작성한 사람은 그래프 작성 전에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아는 것이 중요 
    • 목적 사고력 ; 데이터 작업 전에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를 생각해보고, 이에 필요한 데이터를 활용해 작업을 진행하는 접근 방식 
    • 당신이 무엇을 알고 싶은지, 이를 알게 되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생각해보고 
    • 이에 필요한 데이터를 활용해 작업을 진행하는 접근 방식을 말함 
  • 목적 중심  나 자신이 알고 싶은 것에 따라,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행서 그 결과를 검증하고 결론으로 연결하는 것 
  •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
    • 현상 파악 
    • 목적/문제 정의
    • 지표 결정 
    • 현 상태 파악 
    • 평가 
    • 요인 분석 
    • 해결 방안 분석 

2)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를 풀고 있는가? 

  • 목적 사고력 : 목적에 맞게 문제와 데이터를 연결하기
  • 데이터 활용에 실패하는 두가지 이유 
    • 주요원인1) 풀고자 하는 문제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 
      • 인구 문제를 데이터로 분석해보자 --> 구체적으로 정의 필요 (인구문제, 저출산고령화, 인구유출을 막고 유입을 촉진하자) 
      • 절대적인 정답이 존재하지 않을 때, 여러분은 자신의 생각을 뭉서으로 논리적이고, 객관적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이해시킬 수 있을까요? 자신의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이야기를 만드는 능력
      • 가장 먼저 해야하는 작업은 목적과 문제에 대한 정의 
        • 나는 무엇을 알고 싶은가?
        •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자 하는가? 
        • 목적과 문제 정의 
          • 사용된 언어가 구체적이고 명확한가? 
          • 문제,원인,해결방안을 구분하고 있는가? 
        • 발표를 듣는 사람들이 가장 알고 싶어 하는 것 
        •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,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목적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. 
      • <사례> 
        • 사무직 제안이 많은 회사라는 이미지 때문에, 제조업종 관련 인재풀 확보가 어렵다. 
          • 자신의 추측이 들어가면 안됨 
          • 구체화 필요, 제조 업종 관련 채용 정보를 많이 올리고 있는데, 그 수요를 충족시킬 인재가 충분하지 않아서 기회 손실이 막대하다. 
        • 인재 부족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영업활동을 못하고 있다. 
          • 수주수가 급감하다 (문제) 
          • 고객상담 & 대응 부실 (원인)
          •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영업활동 (해결 방안) 
          • 문제/원인/해결방안을 구조를 고려할 것 
  • 나는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해 풀고 있는가? 
  • 정희한 문제와 사용하는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가? 
    • 개별 데이터가 정확/객관적이라 하더라도 전체 이야기의 연결부를 주관적인 상상으로 만들어 버리면, 데이터의 객관성과 설득력이 떨어짐 
      • 단어 정의가 명확하고 구체적인가?
        • 짐작이나 추측이 아니라, 논리적인 설명을 통해 이요한 지표를 결정해야 함 
      • 결론과 활용된 데이터가 일치하는가? 
        • 결론 도출 프로세스 
          • 평가 지표 및 기준 설정 ( 어떤 요소와 지표가 더욱 목적에 부합하는가?) 
          • 적합한 데이터/그래프 
          • 결론 
        • 프레젠테이션 
          • 결론 
          • 평가지표 및 기준을 결정
          • 적합한 데이터/그래프
      • 나는 올바른 데이터(지표)를 활용하고 있는가? 
        • 제 고민은 이것입니다. 이것이 문제입니다. 이것을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. 
        •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봐야할 것 
      • 목적과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올바른 데이터(지표)를 활용하는가? 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